NFS 서버 설치 및 설정
1. 관련 패키지 설치
sudo apt-get install nfs-kernel-server nfs-common
※ 방화벽이 있는 환경에서는 rpcbind를 활용하여 포트를 지정해주어야 한다.
※ nfs 기본 포트는 2049 (/etc/services에 명시되어 있음)
2. NFS 서버 설정
/etc/exports를 수정하여 공유할 디렉토리 지정.
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함.
[디렉토리 절대 경로] [접근IP]([옵션])
[접근IP]
접근을 허용할 IP 명시. 와일드카드 사용가능
[옵션]
ro -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
rw - 읽기/쓰기로 마운트
subtree_check - 클라이언트가 접근 요청마다 적절한 파일시스템과 exported tree(경로??)로 접근했는지 확인
no_subtree_check - subtree checking off. 기본값.
root_squash -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root를 다르게 인식. 즉, 클라이언트의 root는 anonymous로 맵핑됨.
no_root_squash - root squashing off. 즉, 클라이언트의 root 계정으로 접속시 서버의 root 계정으로 맵핑됨.
all_squash - root가 아닌 일반 유저를 모두 anonymous로 맵핑
sync - 클라이언트가 디스크에 쓰기 후 서버에게 완료 확인 메시지를 보냄 (디스크 동기화)
자세한 사항은 manpage 참조 (http://linux.die.net/man/5/exports)
예를 들어 192.168.1.1에서부터 192.168.1.255까지의 모든 컴퓨터에 제한없는 읽기 쓰기 권한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
/home/AAA/nfs 192.168.1.*(rw,sync,root_squash)
3. NFS 서버 재시작
sudo /etc/init.d/nfs-kernel-server restart
※ 지금 현재 가동되고 있는 NFS 서버의 /etc/exports를 수정사항을 적용하고 싶은 경우
sudo exportfs -ra
NFS 클라이언트 설정
1. 관련 패키지 설치
sudo apt-get install nfs-common
2. 마운트
mount -t nfs [서버IP]:[서버 마운트 포인트] [클라이언트 마운트 포인트] -o [옵션]
[옵션]
rsize - NFS 서버로부터 읽어오는 바이트 수 지정 (기본 1024)
wsize - NFS 서버로 쓰기를 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(기본 1024)
timeo - 타임 아웃 발생 후 재전송 간격
retrains - 타임 아웃 발생 시 재전송 시도 횟수 (기본 3)
hard - 서버가 응답할 때까지 계속 마운트 시도. 응답 없는 경우 umount 명령으로 마운트 취소 불가 (기본)
soft - 타임 아웃 발생 시 retrains 값 만큼만 재전송 시도. umount 명령으로 마운트 취소 가능
nolock - 서버의 NLM(Network Lock Manager)이 file을 locking 하는 것을 막음. (기본값 lock)
tcp - TCP 사용
udp - UDP 사용
자세한 옵션은 manpage 참조 (http://linux.die.net/man/5/nfs)
'컴퓨터공학 리서치 > 공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ar 명령어 압축/해제 (0) | 2014.04.17 |
---|---|
STM32F10x_StdPeriph_Lib의 SPI 구조체 설명 (0) | 2014.04.15 |
Source insight 단축키 정리 (0) | 2013.05.31 |
IAR 에서 외부에디터(External Editor) 사용하기 (0) | 2013.01.08 |
MSP430F5437 ADC(2) (0) | 2012.11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