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Boost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후 압축 풀기
2. 터미널에서 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 후 아래처럼 입력
$ ./bootstrap.sh
3. 생성된 b2를 사용하여 Boost 라이브러리 빌드하기
$ ./b2 toolset=gcc link=static threading=multi address-model=64
3.1 쉬운 방법
$ ./b2 install --prefix=<PATH>
빌드가 끝나면 Boost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안의 stage/lib 디렉토리에 빌드 릴리즈용 lib 파일 생성.
./b2 toolset=gcc link=static threading=multi address-model=64 variant=debug
./b2 toolset=gcc link=static threading=multi address-model=64 variant=release
b2의 옵션 설명
출처: https://sites.google.com/site/boostjp/howtobuild
toolset
하나의 머신에 서로 다른 종류의 컴파일러가 인스톨 되어 있는 경우는 toolset 명령어로 지정할 수 있다. 예를 들면:
borland : Borland사의 컴파일러
dmc : Digital Mars사의 컴파일러
darwin : Apple에서 손을 댄 gcc 컴파일러(Mac OS)
gcc : GNU 프로젝트에 의한 컴파일러
intel : Intel사 컴파이럴
msvc : Microsoft사 컴파일러
로 지정할 수 있다. msvc-9.0 (Visual C++ 2008), msvc-10.0 (Visual C++ 2010)와 같이 버전 지정도 할 수 있다.
link
이것은 static, shared 라이브러리를 만들지를 지정하는 명령어
link=static,shared
와 같이 사용한다.
lib, dll (Windows)
a, dylib (Mac OSX)
a, so (Other Systems)
와 같은 라이브러리 파일을 생성한다.
threading
multi: 멀티 스레드 라이브러리 생성
single: 싱글 스레드 라이브러리 생성.
variant
debug: 디버그 빌드를 생성
release: 릴리즈 빌드를 생성
prefix
라이브러리가 설치 될 경로 지정
기본 속성
Windows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이 사용됩니다.
link = static threading = multi variant = debug, release runtime-link = shared
Linux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이 사용됩니다.
link = static, shared threading = multi variant = release
'컴퓨터공학 리서치 > 공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압축/풀기 정리(zip tar tar.gz tar.bz2) (0) | 2015.01.19 |
---|---|
리눅스(우분투) 파일 생성 시 기본 퍼미션 (0) | 2014.11.19 |
OpenCV 크로스 컴파일 환경 구축 가이드 (1) | 2014.05.15 |
공용 NTP 서버 목록 (국내 타임서버 목록) (0) | 2014.05.15 |
tar 명령어 압축/해제 (0) | 2014.04.17 |